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유튜브 [경영학 플러스 알파], [주말에 어디가지], 도서 문화 여행 리뷰 [techleader.net] 테크리더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498)
경영학 플러스 알파 (유튜브) (150)
우리집 놀이터 (유튜브) (48)
주말에 어디가지 (유튜브) (173)
메롱 (0)
독서노트 (642)
여행이야기 (48)
대학강의 (45)
외부강의 (2)
논문·저서 (13)
책 이야기 (141)
학교생활&일상 (185)
문화생활 (17)
뉴스스크랩&리뷰 (13)
IT정보 (16)
비공개문서 (0)
Total
Today
Yesterday

'중국과 이란'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2.02.16 <중국과 이란>, 존 W. 가버, 알마, 2011.
반응형
중국과 이란
존 W. 가버 저/박민희 역
예스24 | 애드온2

‘이란’하면 이슬람교가 떠오르니 이란과 이슬람교와의 작은 ‘인연’에 대해 먼저 소개할까 한다. 결혼 전 연애시절에 지금의 아내와 한남동 이슬람 사원에 다녀온 적이 있다. 당시 나는 종교에 대한 관심으로 아현동 정교회 성당, 정동 성공회 성당, 조계사 등 서울 시내 종교기관에 ‘구경’하러 다니는 것을 좋아했다. 지금은 그럴 시간을 내기 힘들다는 것이 아쉽기도 하다. 기독교인인 나로서는 이슬람 사원에 처음 방문했을 때 정문에 쓰여진 문구를 보고 상당히 놀란 기억이 난다. “하나님 외에 다른 신은 없습니다. 무함마드는 그 분의 사도입니다.” 아마 가본 사람은 이 문구를 보았으리라 생각된다. ‘하느님’도 아니고 개신교에서 이야기하는 ‘하나님’이라고 표기한 것에 대해 더욱 놀랐다.

또 하나 이야기는 지금 출석하고 있는 교회에서 운영되고 있는 이란인선교회에 관한 일이다. 우리 교회에서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을 위한 모임을 각 나라별로 여러 팀 운영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이란인을 중심으로 한 이란인선교회이다. 여기에서 몇 달 정도 봉사를 한 적이 있는데 간단한 이란어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이란인과의 교제를 통해 중동 국가 사람들에 대한 웬지 모를 ‘거부감’을 떨쳐낼 수 있었다.

지금까지 중국이라는 나라에는 세 번 관광차 방문하였다. 세 번 모두 다른 지역이었는데 처음 가본 곳은 심양, 단둥, 백두산 등 동북지역이었고 두 번째 방문은 상해와 소주 지역, 세 번째 방문은 산둥성 웨이하이 주변이었다. 가는 곳마다 새로운 건물과 도로가 건설되고 있었으며, 인상깊었던 것은 상해 황포강 유역에는 휘황찬란한 건물들이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반면 또 다른 시골지역에는 사진으로만 봐왔던 우리나라 60년대 풍경을 재현한 듯한 모습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었다. 전혀 다른 나라라고 생각할 만큼 그 차이는 컸다.

아무런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중국과 이란. 책 제목을 보면서 가장 원론적인 궁금증은 중국과 이란이 도대체 무슨 관계 또는 공통점이 있길래 두 나라를 묶어서 책으로 펴냈을까 하는 것이었다. 궁금증은 처음 몇 페이지를 읽어나가면서 바로 풀렸다. 중국과 이란의 관계는 1970년대 소련 세력을 봉쇄하려는 것, 1990년대에 미국의 패권주의에 대항하려는 것 등 다분히 이해관계로 지탱해온 관계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해관계를 넘어서 문명적 연대를 이루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배경에는, 이란은 페르시아 제국, 중국은 수-당-송-금-원-명-청으로 이어지는 제국의 모습으로 오랫동안 유지된 왕국이었으나 이전에 누렸던 높은 지위를 서구 세력에 의해 빼앗기는 공통적인 경험이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즉 중국과 이란의 관계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신념과 이해관계 둘 다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p.19). 또한 중국과 페르시아 모두 농경, 도시사회였으며 끊임없이 북쪽의 원시적이고 빈곤한 유목사회의 위협을 받은 점이 양국의 관계를 형성하는 요소가 되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p.48).

이러한 중국과 이란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변수 가운데 하나는 이란과 중국 무슬림 사회 간의 관계였다(p.217). 특히 중국 신장 지역 내의 무슬림들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그룹은 위구르족과 후이족이다. 이들은 반한족 정서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반체제 활동의 가능성이 높았고 중국 정부는 이를 우려하고 있다. 좋은 관계의 역사적 전통 가운데서도 이러한 이유로 두 나라는 약간의 줄다리기를 할 수 밖에 없는 처지라는 것이다.

책은 열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중국과 이란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으며 2~4장에서는 시대별로 중국과 이란이 어떤 국제적 관계를 맺어왔는지 설명하고 있다. 5장에서는 신장지역의 무슬림들에 대한 이야기가 언급되고 있다. 이 책의 하이라이트는 6장부터 시작된다. 이 책에서는 중국과 이란의 관계가 주목받는 이유를 결국 핵으로 대변되는 무기 수출에 관한 사항과 석유로 대변되는 에너지 자원의 지배 또는 협력에 관한 사항으로 보았다. 하나 덧붙이면 미국과의 관계 설정에 대한 부분이다. 반대로 이야기해서 미국의 입장에서 눈엣가시 같은 중국과 이란 두 나라와의 관계를 어떻게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이 출간된 시점은 2006년이다. 하지만 최근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겠다고 선포하였지만 미국 항공모함이 계속 통과하는 등 전운이 감돌고 있는 지금 이 책의 번역출간은 아주 시의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부록을 포함하여 500여 페이지에 달하는 책의 두께를 보고 약간의 위압감을 느끼게 되지만 심오한 철학이나 수식이 난무하는 과학을 이야기하는 책도 아니고 그저 두 나라의 역사적 역학관계와 현재의 모습, 그리고 미래의 변화에 대한 약간의 힌트를 던져주는 책이니 그리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국제 동향에 대해 관심있는 분 뿐만 아니라 세계역사에 대한 관심만으로도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책이다.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