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유튜브 [경영학 플러스 알파], [주말에 어디가지], 도서 문화 여행 리뷰 [techleader.net] 테크리더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498)
경영학 플러스 알파 (유튜브) (150)
우리집 놀이터 (유튜브) (48)
주말에 어디가지 (유튜브) (173)
메롱 (0)
독서노트 (642)
여행이야기 (48)
대학강의 (45)
외부강의 (2)
논문·저서 (13)
책 이야기 (141)
학교생활&일상 (185)
문화생활 (17)
뉴스스크랩&리뷰 (13)
IT정보 (16)
비공개문서 (0)
Total
Today
Yesterday
반응형


플라스티키, 바다를 구해줘
국내도서
저자 : 데이비드 드 로스차일드(DAVID DE ROTHSCHILD) / 우진하역
출판 : 북로드 2013.08.05
상세보기


서울과 수도권 인근 대학 몇군데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 나는 수업시간에 아직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직업을 가져보면 어떨까 이야기하곤 한다. 첫번째는 고령화 현상이 심해지면서 흔히 실버산업 또는 시니어 비즈니스라고도 하는 고령자에 대한 비즈니스의 기회를 찾아보라는 것과 그와 함께 정부 정책 및 복지 차원의 접근의 필요로 인한 가능성과 기회를 찾아보라는 것이며, 두번째는 환경공해가 심해지면서 비즈니스적 접근과 정책적 접근이 동시에 필요하기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기회들이 많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수업시간에 환경에 대한 문제를 언급하곤 했지만 이 책의 저자처럼 환경에 대한 나의 생각이 바다오염에까지 미치지는 못했음을 고백하며 부끄럽게 생각한다.



플라스티키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바다오염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 저자 일행이 만든 항해용 배이다. 페트병 12,500개를 이용하였으며 신소재인 세라텍스를 개발하여 배를 만드는데 사용하였다. 이 플라스티키를 이용하여 저자를 포함한 6명의 단원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금문교를 시작으로 호주 시드니까지 이르는 태평양 횡단을 기획하고 2년 반(p.38)만에 성공하게 된다. 그 길이는 16,000km에 달하니 실로 어마어마한 프로젝트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플라스티키가 관심을 갖기 원하는 것은 태평양을 횡단하는 문제가 아니다. 바다 오염과 환경 파괴로 인한 문제를 세상에 알리기 위함인 것이다. 본문 내 특별기고 기사 내용에 따르면 매년 700만 톤 이상의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있다(p.161)고 하니 얼마나 문제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분명 플라스티키는 태평양을 횡단하기 위해 건조된 탐험선이다. 그러나 플라스티키의 더 중요한 탐험은 환경 파괴나 고갈 없는 자원 개발의 경계선까지 가보는 것이다.  - p.59


플라스티키를 만들고 바다위에 띄우기까지의 과정은 만만치 않았다. 플라스티키 프로젝트의 성공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동원된 집단지성의 힘이었다. 외부 연료 공급이 없이 움직이는 강력한 자가 발전기를 만들어 장착하였고, 세레텍스라는 신소재를 만들어서 합판을 대체할 만큼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세라텍스를 만들어내는데 1년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p.57)하니 저자가 플라스티키를 만든느 과정에서 플라스팀 산업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p.51)는 고백이 이해가 되었다.


적합한 재료를 찾는 동안 나는 플라스틱 산업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가 알아야 할 첫 번째 그리고 어쩌면 가장 중요한 문제는 플라스틱 산업이란 영원히 썩지도 분해되지도 않으면서 일회용으로 소모되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건 정말 미친 짓이다.  - p.51


많은 플라스틱 잔해들이 바다 위를 떠다니다가 환류를 만나 바다 곳곳에 쌓이고 있다고 한다. 어찌보면 남의 일처럼 여겨질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 쌓이는 플라스틱이 많다는 것도 문제지만 플라스틱이 풍화작용을 통해 잘게 부서지면서 많은 바다 생물들이 먹이로 오해하여 먹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먹은 동물들은 죽기도 하지만 몸속에 쌓여 우리 밥상위로 올라올지도 모르니 나와 상관없는 일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더 나아가 플라스틱에 함유된 화학물질들과 특정 성분들은 몸속에 들어와 호르몬 흉내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먹이 사슬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생태계 교란으로 인해 커다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바로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플라스틱을 결국 아무런 가치 없는 일회용 재료로 다루는 데 익숙해져 있다. 수천 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을 플라스틱을 가지고 우리는 단지 10분, 아니 그보다 더 짧은 시간만 사용하게 되는 포장재료나 기타 제품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플라스틱 제품을 그저 한 번 사용하고 폐기하는 습관의 비극적인 결과가 바로 바다와 그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에게 나타나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들로 가득 차버린 바다는 우리가 바꿀 수 없다.  - p.87


얼마나 바다가 오염되어 가고 있는지 본문 내 박스기사(p.153)를 통해 심각한 오염사례를 전해주고 있다. 2010년 5월 시애틀 근처 바닷가에서 떠오른 11미터짜리 고래 시체를 해부하여 위장을 갈라보니 다음과 같은 것들이 들어있었다고 한다. 천 뭉치 5개, 양말 한짝, 골프공 1개, 낚싯줄, 주스 빈 병 1개, 나일론 밧줄 1개, 플라스틱 통 1개, 쇼핑백 2개 등 박스기사에는 이외에도 많은  것들이 고래의 뱃속으로 들어갔던 것이다. 누가 버린 것이겠는가. 모두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으로 버린 것이 강으로 바다로 흘러가 고래의 뱃속까지 들어간게 아니겠는가.


책의 내용은 바다오염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려는 심각한 주제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오랜 시간 바다위에서 단체 생활을 하면서 겪은 에피소드들을 본문과 각 대원들의 일기를 통해 전해주고 있다. 물론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장면들도 많다. 바다위에서 생활하다보니 물이 부족하여 제대로 몸을 씻지 못했는데 33일만에 열대성 폭우가 내리면서 전 대원들이 갑판위로 올라가 온몸 구석구석 숨어있는 소금기를 씻어내고 옷을 빨고 마음껏 빗물을 마시는 장면(p.148)을 상상하니 얼마나 즐거웠을까 하는 생각도 잠시 들었다. 일정이 지연되는 바람에 대원 중의 한 명은 바다 위에서 아내의 출산 소식과 태어난 아들의 모습을 화상 전화로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p.155).


39일간 5787km의 항해를 마치고 크리스마스 섬이라는 산호섬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3명의 대원과 헤어지고 또다른 3명의 대원이 다시 합류하게 되었다. 다시 출발한 6명의 대원들은 다시 의욕에 찬 항해를 시작하였다. 크리스마스 섬을 출발하여 사모아 섬으로 향한 두번째 항해 이야기를 담은 8장에서 저자는 해양동물의 대량학살과 그로 인한 바다의 산성화 문제를 짚고 넘어간다. 이 역시 생태계를 교란하고 바다생물이 더 이상 바다에서 생존할 수 없을 정도로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는 요인들인 것이다. 또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전체 산호초 지대의 4분의 1이 파괴되었다고 하니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해수면 온도가 지구 환경을 얼마나 위협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바다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우리가 원하는 모든 것을 그냥 내어줄 거라는 환상은 이제 그만 끝내야 한다. 인간은 자신의 생명줄을 지탱해주는 생태계마저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 p.234


크리스마스 섬을 출발하여 사모아 섬에 잠시 정박 후 다시 출발하여 대원들은 시드니에 도착한다. 그들의 태평양 항해는 한편의 '드라마'였다. 5미터나 되는 파도를 만나기도 했고 극심한 가뭄에 물이 귀해 제대로 씻지도 못했지만 그들의 열정은 대단했다. 우리는 그들의열정에 공감할 필요가 있다. 지구는 나의 것만이 아닌 우리 모두의 것이고 앞으로 우리 후손들이 살아야 할 공간이기 때문이다. 쓰레기 더미로 쌓인 바다를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는 없지 않은가.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그들의 열정, 오염되는 지구에 대한 안타까움을 잊지 않기 위해 책의 앞부분으로 돌아가 저자가 이야기하는 '더 나은 미래'의 정의를 공유해 본다.


지금 내가 타고 있는 건 배가 아닌 나의 꿈이다. 나는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꼭 필요한 참신한 생각들을 끌어모았고, 2년간의 고된 노력 끝에 온 힘을 다해 가장 진지하게 구현한 결정체가 바로 이 배, 플라스티키인 것이다. 더 나은 미래란, 현재의 생활 방식이 만들어내는 감당할 수 없는 쓰레기와 환경 파괴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나는 지금 이렇게 1만 2500개의 페트병으로 만든 배를 타고 바다 위를 떠나니고 있는 것이다.  - p.16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