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유튜브 [경영학 플러스 알파], [주말에 어디가지], 도서 문화 여행 리뷰 [techleader.net] 테크리더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498)
경영학 플러스 알파 (유튜브) (150)
우리집 놀이터 (유튜브) (48)
주말에 어디가지 (유튜브) (173)
메롱 (0)
독서노트 (642)
여행이야기 (48)
대학강의 (45)
외부강의 (2)
논문·저서 (13)
책 이야기 (141)
학교생활&일상 (185)
문화생활 (17)
뉴스스크랩&리뷰 (13)
IT정보 (16)
비공개문서 (0)
Total
Today
Yesterday
반응형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타인을 배척하는 일, 그리고 우리를 지배하고 착취하려는 그들에게 분노하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일상이 되었다. 세상을 불평등하며 이 불평등을 조장하는 세력들을 문제시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누군가에 의해서 만들어진 구도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기득권 세력은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또다른 공격대상을 만들어내고 반대세력들은 이 기득권 세력으로 인해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고 대중들의 분노를 부추기고 있다. 이는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저자인 이안 브레머의 책은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리더가 사라진 세계>, <팻테일>, <J커브> 등우리나라에서 다수 번역 출간되어 있다. 모두 글로벌 정치에 대해 상당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책들이다. <우리 대 그들>에서는 전 지구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포퓰리즘 정치가들에 의해 조장되는 갈등과 분노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하고 있다.


이들은 사람들 사이에 경계선을 긋는 재주가 있어 모범 시민이 당연한 권리를 찾기 위해서는 권력을 등에 업은 도둑, 혹은 탐욕에 눈이 먼 도둑에게 맞서야 한다는 분열의 이미지를 그럴싸하게 제시하면서 '우리 대 그들'의 구도를 만든다.  - p.13


이러한 갈등과 분노는 국가와 국가간에도 벌어지지만 한국 독자들이 좀더 눈여겨 봐야 할 것은 바로 국가 내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좌파 대 우파의 이데올로기즘 대결구조를 비롯하여 남성 대 여성의 성대결구조, 젊은 사람들과 노인들간의 갈등, 난민과 이주노동자들의 차별의 문제, 도시와 지방의 혜택 차별에 대한 분노 등이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기보다 누군가 이 갈등의 조장을 통해 새로운 권력을 쟁취하거나 자신의 권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결과라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3장에서 열두개 나라를 간략히 소개하면서 이 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의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소개하면서 다음 문장을 보면 '우리 대 그들'간에 벌어지고 있는 갈등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그들'은 엘리트 지도층이거나, 경찰이나 백인, 외국인 투자자일 수도 있고, 젊은 세대를 이해하지 못하는 기성세대일 수도 있다. 혹은 소말리아, 나이지리아, 짐바브웨 등에서 유입되는 반갑지 않은 외국인 노동자일 수도 있다.  - p.99


저자는 남아공을 비롯하여 나이지리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멕시코, 베네수엘라, 터키, 러디아, 인도네시아, 인도, 중국 등에서 벌어지고 있는 '우리 대 그들'의 갈등을 소개한다. 



사우디아라비아에는 세계화를 받아들인 청년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청년들도 있기에 젊은 세대가 어린 나이부터 자유냐, 교리준수냐 하는 문제를 놓고 양분되어 있다고 소개한다. 만약에 왕실의 야심가들이 대중의 분노를 이용해 집권층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키우려 들면서 불협화암을 만든다면 사우디인들은 '우리'를 규합하기 위해 '그들'을 찾아내려 할 것이고, 그에 따라 같은 중동 지역의 라이벌 국가인 이란과 더 많은 싸움을 벌일 가능성이 크다(p.116)고 주장한다. 이는 한 나라에서 '우리'의 세력 확장을 위해 외부에 있는 '그들'을 내세울 수도 있다는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일반 국민이 정재계 엘리트 층 전체와 맞서는 구도로 '우리 대 그들'의 전개되고 있다(p.118). 터키에서는 나아라 어렵고 비판이 고조되는 시국에 에르도안은 '우리 대 그들'의 정치에 일가견이 있음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그는 정적, 언론인, 쿠르드족을 무시하고, 보수적인 이슬람교인과 골수 국수주의자들이 주를 이루는 지지자들의 불만에 장단을 맞춰 유럽의 정부를 향해 노골적으로 싸움을 걸고 있다(p.129). 인도에서는 집권 여당인 BJP의 정치 관료들이 힌드교 국수주의를 비판하는 언론인들을 '더러운 세속주의자', '언론의 창녀'로 매도하는 등의 수법으로 분노를 부채질하고 있다(p.138). 


국가와 국가간에 세워지는 유무형의 장벽을 통한 정보의 통제가 심각한 상황이지만 앞서 말한대로 우리는 국가 내부에도 이러한 장벽을 세움으로써 기득권 세력을 무너뜨리거나 또는 반대로 자신의 권력을 더 강화하기 위해 기득권 세력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 봐야 한다. 


앞으로 훨씬 많은 나라의 정부가 자신들을 '그들'로부터 지켜줄 사람들의 손에 권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은근하게, 혹은 노골적으로 법에 수정을 가하는 일이 발생할 것이다.  - p.183


투표를 원천 봉쇄할 수는 없어도 더 어렵게 만들 수는 있는 법이다. 예를 들면 투표를 위해 구비해야 하는 서류의 수를 늘리고, ㅌ표 대기열을 길레 늘릴 방안을 마련하고, 특정 유권자들의 의지를 꺾을 메시지를 만드는 것이다.  - p.191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기득권 세력을 모두 적폐로 돌리고 이를 청산하지 않으면 새로운 대한민국을 세울 수 없다는 표퓰리즘 정치가 판을 치고 있다. 적폐 청산이라는 좋은 비전을 내세웠지만 정작 기존의 적폐들이 벌였던 불법을 여전히 자신들이 권력 쟁취 및 유지를 위해 사용했음이 드러나면서 갈등이 더욱 조장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댓글 조작, 가짜뉴스 등 사이비 언론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여론을 조작하려는 움직임은 지금까지 그 어떤 정부에서도 깨끗하다고 할 수 없을 정도며, 이를 통해 '그들'의 세력을 누르고 '우리'의 권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결국 우리는 현상이 맞서기 위해 창의성을 가지고 더 똑똑하게 분별할 수 밖에 없지 않나 생각한다. 더이상 똑같은 속임수에 넘어가지 말아야 됨을 저자는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인간은 타고난 창의성으로 생존에 필요한 도구를 만들어낸다. 지금 우리의 생존을 위해서는 모두 함께 어울려 살아갈 방법을 새로이 마련해야 한다(p.251).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