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유튜브 [경영학 플러스 알파], [주말에 어디가지], 도서 문화 여행 리뷰 [techleader.net] 테크리더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501)
경영학 플러스 알파 (유튜브) (150)
우리집 놀이터 (유튜브) (48)
주말에 어디가지 (유튜브) (173)
메롱 (0)
독서노트 (642)
여행이야기 (48)
대학강의 (45)
외부강의 (2)
논문·저서 (13)
책 이야기 (142)
학교생활&일상 (186)
문화생활 (17)
뉴스스크랩&리뷰 (13)
IT정보 (16)
비공개문서 (0)
Total
Today
Yesterday
반응형

몸이 가벼워지고 머리가 맑아지는 '1일 1식' 10계명


1. 통째로 먹어라.

2. 밥을 먹었으면 곧바로 자라.

3. 골든타임을 지켜라.

4. 아침 햇살과 함께 일어나라

5. 건강해지려고 운동하지 마라

6. 디저트와 술은 비싼 것으로 조금씩만 먹어라.

7. 설탕과 소금은 멀리하라.

8. 공복에 커피 마시지 마라.

9. 몸을 따뜻하게 하지 마라.

10. 모델처럼 가뿐히 척척 걸어라.


<1일 1식>, 나구모 요시노리, 위즈덤하우스, 2012.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
반응형


물리학 시트콤
국내도서>자연과 과학
저자 : 크리스토프 드뢰서 / 전대호역
출판 : 해나무 2012.09.10
상세보기



인문계 전공자들에게 수학이나 물리학이란 가장 어렵고 접근하기 어려운 과목이 아닌가 싶다. 특히 나에게는 존재가치가 제로에 가까운 학문이었다. 도대체 왜 이런 계산을 해야 하는지, 이런 계산이 인생에 무슨 도움이 되는지 전혀 이해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무식함의 극치였다는 점을 20대 후반이 되어서야 조금씩 깨닫게 되었다. 단지 공식대로 계산을 하는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계산의 알고리즘을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능력을 기르기 위함이 아닐까 싶다. 지금 알게 된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지금 같지는 않았을텐데. 아니면 이런 재미있는 책 한권 있었더라면 수학이나 물리학을 어렵게 여기지만 않았을텐데.


이 책의 저자는 몇달 전 출간되었던 <수학시트콤>의 저자라고 한다. <수학시트콤>은 아직 읽지 못했지만 이 책을 읽어보니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 책은 그만큼 인문 전공자들에게, 특히 나와 같이 수학이나 물리학 계통의 공식이 난무하는 학문으로 오해할 수 있는 학문에 대해 극도로 거부감을 가진 사람에게는 이과 계통의 학문에 부드럽게 빨려들게 만드는 입문서와도 같다.


물론 쉽지만은 않다. 100% 다 이해하지도 못했다. 특히 계산이 조금씩 나오는 내용들은 또다시 거부감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과학이란 것이 이렇게 재미있는 학문이었다는 것을 조금이나마 깨닫게 해주었다. 과학이라는 학문이 단지 공식대로 계산만 하는 학문이라면 그야말로 암기과목이 아니겠는가. 


14개의 이야기로 구성된 책의 첫 내용은 유레카를 외쳤던 아르키메데스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매 이야기마다 계산식이 난무하지만 뚜껑이 열리도록 두뇌에 불도 붙여주고 갑자기 재미난 이야기로 찬물로 끼얹어준다. 최근 과학입문서 특히 우주과학에 대한 책들을 보았고 또 보고 있는데 아직까지 난이도 있는 책을 읽기에는 역부족이지만 좀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된 책이다. 혹시나 순수과학계통의 책에 이유없는 거부감이나 두려움이 있어 접근하기 어려운 분이라면 한번쯤 읽어두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
반응형


지하철 타고 집에 가는 길에 환승역에서 도서 3권에 9900원에 구입. 두권은 내가 볼 책, 한권은 유아그림책.


[피의 광장] 14,000원 → 3,300원

피의 광장
국내도서>역사와 문화
저자 : 파멜라 마린(Pamela Marin) / 추미란 역
출판 : 책우리 2009.12.17
상세보기



[크라우드 서핑] 12,800원 → 3,300원

크라우드 서핑
국내도서>경제경영
저자 : 마틴 토마스(Martin Thomas),데이비드 브레인(David Brain) / 신승미역
출판 : 지훈출판사 2009.09.17
상세보기



[우리는 한가족이야] 9,000원 → 3,300원

우리는 한가족이야 (양장)
국내도서>유아
저자 : 토드 파 / 방명옥역
출판 : 삐아제어린이 2008.11.25
상세보기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
반응형


오랜만에 지하철서점에서 두권의 책 구입


[만주항일 파르티잔] 26,000원 → 6,000원

만주 항일 파르티잔
국내도서>소설
저자 : 유순호
출판 : 선인 2009.03.20
상세보기


[서양지성과의 만남 1] 12,000원 → 4,000원

서양 지성과의 만남 1
국내도서>역사와 문화
저자 : 조한욱
출판 : 꿈이있는세상 2007.09.20
상세보기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
반응형


인생해석사전 (양장)
국내도서>시/에세이
저자 : 센다 다쿠야 / 김윤희역
출판 : 명진출판 2012.08.03
상세보기



분량이 적어 두세시간이면 다 읽을 가벼운 책이다. 하지만 한번에 다 읽어버리고 싶지 않는 내용들이다. '인생 해석사전'이라는 책 제목처럼 몇가지 키워드들에 대해서 저자의 통찰력을 가지고 해석한 내용들을 주옥같은 문장으로 표현하였다. 개인적으로 이런 식의 자기계발서를 좋아하지는 않는데 이 책은 특별한 느낌을 받았다. 책 제목 앞에 붙은 '서른 살을 위한'이란 것도 40대 초반인 나에게 별로 큰 문제는 되지 않았다. 좀 부끄럽기는 하다. 서른 살을 위한 책이라는데 마흔 살이 보고 감동을 받았으니 말이다.



몇가지 키워드에 대해 저자가 설명한 내용을 곱씹어보자. 먼저 고통이라는 단어이다. 고통으로 감각이 마비되어 그 고통에 익숙해져버리는 것과 고통을 적극적으로 느끼고 받아들이는 것 중에서 무엇이 더 올바른 자세인지 고민해 보자. 저자는 더 이상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면 그것으로 청춘은 끝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저자의 설명을 읽어보면 고통을 고통으로 받아들이고 그 고통 가운데서도 배울 점이 있고 인생의 방향을 결정해 줄 이정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게 된다. 성경에도 이겨낼 만큼만의 연단을 준다고 하였고 그 연단을 통하여 순금같은 인생이 될 것으로 이야기했던 바, 성경에서 이야기하는 연단과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고통을 연관지어 본다면 분명 고통은 고통스럽지만은 않을 것이다.


다수결에 대한 정의는 다소 정치적인 이슈를 제공한다. 흔히 의사결정을 해야 할 상황에서 다수결로 결정하는 경향이 많은데 저자는 다수결이 반드시 올바른 대안을 제공해 준다고 보지 않았다. 만약 다수결로 모든 것이 결정되었다면 스티브 잡스라든가, 라이트 형제, 코페르니쿠스 같은 인물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은 다수의 주장을 대변한 사람이 아니라 바로 외로운 소수였다. 유능한 리더는 결코 중대한 결정은 다수결에 맡기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 문장에서 설명한다.


유능한 리더는 결코 중대한 결정을 다수결에 맡기지 않는다. 다수결이 얼마나 모순적인지를 알고 싶다면 고개를 돌려 정치판을 보라. 모두가 다수결로 뽑힌 사람들이다.  - p.53


'리스크'에 대한 설명에서는 어떤 인생이나 리스크가 있게 마련이므로 자신이 원하는 일을 선택하는 편이 현명하다고 조언하고 있으며, '리턴'에 대한 정의에서는 성공보다 성장을 추구하라고 조언한다. '모두'에 대한 설명도 마음에 담아둘 만 하다. "다들 그러던데", "모두 그렇게 얘기했어요", "전부 그렇게 하고 있어요" 이런 말들은 어린아이들이 쓰는 이야기라면서 도대체 그 모두라는 것이 누구를 가리키는 것인지 반문한다. 모두가 그럴 것이라는 표현으로 사고를 멈추게 하지 말라는 의미의 조언이다.


모든 사람들을 한번도 변화하지 않은 사람과 날마다 변화를 추구하는 사람으로 나눈다면 나는 어떤 사람일까. '변화'라는 키워드에 대해서 정의하면서 지금 변화하지 않는 사람은 10년 뒤에 문득 거울 속에서 초라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p.93)는 섬뜩한 말도 기억에 남는다. 정체되어 있고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일이 지속될 때 변화의 욕망이 생기기도 하지만 변화에 대한 두려움으로 다시 일상으로 복귀하는 모습들이 있지 않은지.


책꽃이에 꽂아두고 매너리즘에 빠지거나 삶의 의욕에 무너질 때 한번씩 꺼내보면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 서른살이 넘었더라도 부끄러움을 잠시 접어두자.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