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유튜브 [경영학 플러스 알파], [주말에 어디가지], 도서 문화 여행 리뷰 [techleader.net] 테크리더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501)
경영학 플러스 알파 (유튜브) (150)
우리집 놀이터 (유튜브) (48)
주말에 어디가지 (유튜브) (173)
메롱 (0)
독서노트 (642)
여행이야기 (48)
대학강의 (45)
외부강의 (2)
논문·저서 (13)
책 이야기 (142)
학교생활&일상 (186)
문화생활 (17)
뉴스스크랩&리뷰 (13)
IT정보 (16)
비공개문서 (0)
Total
Today
Yesterday
반응형


기황후 1
국내도서
저자 : 장영철,정경순
출판 : 도서출판마음의숲 2013.10.21
상세보기


기황후 2
국내도서
저자 : 장영철,정경순
출판 : 도서출판마음의숲 2013.10.21
상세보기


2004년 몽골에서 일주일간 머무른 적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지평선이 펼쳐진 초원이 인상적이었던 나라이다. 수도인 울란바타르에서도 몇일간 머물렀지만 그 초원의 게르에서 이틀간 머무르면서 몽골의 낙후된 실상을 볼 수 있었다. 몽골에서의 마지막날 몽골인들과의 저녁 만찬에서 한 몽골인이 큰 지도를 펼쳐들었는데 그것은 몽골제국이 아시아와 유럽의 가장 큰 영역을 지배했을 당시의 지도였다. 그만큼 몽골인은 그때의 향수를 가지고 있는가보다 싶다. 중국 북쪽에 작은 나라로 머물러 있지만 자신들은 세계를 다스렸던 민족이라는 자부심이 여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황후≫를 읽으면서 그때 다녀왔던 몽골 초원이 떠올랐다. 책은 그 땅을 지배했던 원나라의 마지막 황제 순제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순제는 어린 시절 타환이라 불렸다. 타환은 아버지인 명종에 이어 황위를 물려받아야했지만 정권 다툼이 밀려 동생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황태제의 신분으로 고려로 유배를 온다. 그 시절 고려는 원나라에게 공녀를 차출하던 힘없는 나라였다. 고려 군사였던 기자오는 자신의 딸이 공녀로 차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남장을 하여 남자로 살아가게 했다. 고려 왕의 지시를 받아 유배를 온 타환을 보호하게 하다가 고려 말단 장수였던 염병수의 모함으로 여자임이 밝혀지면서 공녀로 원나라에 가게 된다. 그곳에서 타환을 다시 만나게 되고, 충혜왕과는 사랑을 나누어 아들을 낳게 된다. 그 아들이 우여곡절 끝에 순제의 제1황후의 아들이 되면서 태자 신분이 되면서 원나라 정국은 폭풍 속에 쉽싸이게 된다.


지난 2013년 10월 28일부터 MBC에서는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를 방송하고 있다. 기황후 역에 하지원, 충혜왕 역에 주진모, 순제(타환) 역에 지창욱이 열연하고 있다. 드라마에서는 역사 왜곡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충혜왕을 왕유라는 가상의 인물로 대체했다. 하지만 그 밖의 인물들이 실존인물에 가까워 여전히 문제를 피해가지는 못하고 있다. 사실 기황후나 충혜왕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좋지 않다. 대부분 역사가들은 충헤왕을 주색에 빠져 방탕한 행동을 일삼다가 원나라에 의해 폐위된 임금이라고 평가한다. 그렇지만 소설은 소설이 아닌가. 역사 속의 인물을 소재로 하더라도 가상의 허구적인 스토리가 내재된 것이 역사 소설의 묘미가 아닐까 싶다. 다만 그 소설 속의 내용을 실제 역사속에 인물을 평가하는데 사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최근 상영중인 변호인을 보며 노무현을 떠올릴 수 밖에 없듯이 말이다.


소설이 원래 드라마 상영을 가정하고 만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소설 그 자체만으로는 완성도가 상당히 떨어진다. 전체적인 스토리는 그렇다치고 인물묘사나 상황의 설명 등 각 문장들이 유려하지가 못하다. 또한 문법체계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문장들이 속출한다. 예를 들어 '순제가 즉위에 오른 이후로는(2권, p.57)', '그 안에 적힌 이름들을 호명하자(2권, p.108)' 등은 '역전앞'과 같은 동어반복이라는 문법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


2권의 마지막 장의 제목이 '마침내 천하의 주인이 된 기황후'이다. 따라서 책의 결말을 다 읽지 않아도 알 수가 있다. 이런 식의 제목은 소설 구상 단계에서 피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결말을 알아도 결말을 맺어가는 과정이 흥미롭다고 변명할 수도 있겠지만 다소 열린 결말을 상상하게 만드는 제목이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고려시대, 그리고 원나라 시대의 역사적 실존인물을 배경으로 한 이 소설은 드라마로 인해 더 흥미를 끌고 있기는 하지만 주인공인 기황후는 우리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획을 그은 인물이라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적 평가가 상반될 수는 있겠지만 열악한 상황에서 한 나라의 주도권을 잡은 그녀의 스토리를 통해 현실을 조명해 본다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생각나지 않을까 생각한다.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
반응형


샘터라는 이름은 참 아름답다.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맑은 샘물처럼 솟아난다. 이번 1월호에도 아름다운 이야기, 가슴아프지만 용기가 생기는 이야기, 감동적인 이야기들이 넘쳐난다. 철도 직원보다 철도에 대해서 더 많이 알고 있다는 이야기, 전쟁 중 실종된 사람들의 유해를 찾아 주고 있다는 이야기, 의대를 졸업하고 낮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살고 있는 이야기 등 기사들의 한꼭지 한꼭지가 모두 선한 영향력을 끼치려는 사람들로 넘쳐난다.


전문 필진이 쓴 글이나 독자들이 기고한 글 모두 새해의 하루하루를 아름답게 만들어갈 이야기들이다. 경영 전문가 유정식 님 등 새로운 필진들의 등장도 반갑고, 이번 호에 소개되어 흥미롭게 읽은 박준규 님 등이 앞으로 필진으로 참여한다는 소식도 반갑다.


기사들을 읽어나가다보니 눈에 확 들어오는 사진 한장은 백년도 더 되었다는 바리깡 사진이다. 이웃나라 일본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가업을 잇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없는데 2대째 가업을 잇고 계신 분의 이야기가 흥미롭다.


이번호는 이런 생각이 참 많이 들었다. 무엇이든 좋아하는 일을 미치도록 하다보면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생각. 1만시간의 법칙을 굳이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글쓴이들의 삶을 반추해 보면 분명 그들이 좋아하는 일을 잘 하기 위해 전력질주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014년 새해가 밝았다. 2014년은 말의 해이니만큼 말처럼 목표를 향해 전력질주하는 한해가 되기를 바란다.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
반응형

본문 : 수 22:1~3

제목 : 단체전의 승리를 꿈꾸는 사람들

날짜 : 2013년 12월 31일


야곱의 열두아들중에 늑대라는 표현을 듣는 지파가 베냐민 지파이다. 늑대라고 하는 동물에 대해서 보통 사람들은 좋지 않은 인식을 갖게 마련이다. 하지만 늑대는 암컷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유일한 포유류라고 한다. 사냥을 하면 먼저 암컷과 새끼에게 주고, 목표를 보면 성나게 물어뜯되 결과물은 다른 이들과 나눈다고 한다. 즉 본인만 생각하지 않고 나눔을 생각하는 동물이다.


베냐민 지파를 상징하는 보석인 자수정은 처음에는 거칠지만 다듬으면 아름다워지는 보석이다. 팀워크를 통해 다듬어진다. 


21세기 리더의 선택라는 책에서 언급한 공통의 성공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조건은 리더들이 소신껏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권위를 인정해주는 분위기가 중요하다. 맨유에서 퍼거슨과 베컴의 갈등할 때 퍼거슨을 선택한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두번째 조건은 고위 간부들이 젊은 인재들을 계속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랑하는 마음으로 가르치고, 나누어먹기 위해 물어 뜯는 늑대와 같이 비전을 붙들고 놓치않는 열정을 가져야 한다.


희망이나 꿈이 보이지 않으면 나이먹는 것이 축복이 아니다. 나이가 결정하지 않는다. 잘해도 못해도 칭찬하고 응원하는 가족. 공동의 비전을 가지고 있는 가족, 서로를 부담스러워하지 않는 지체의식이 필요하다.


새해 2014년 단체전의 승리를 꿈꾸며.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
반응형


추운 날씨에 따뜻한 방에서 재밌게 읽을 만한 소설 몇권 알려드립니다.


[스칼렛, 마리사 마이어, 북로드] - 신데렐라와 빨간모자의 만남 : 루나 크로니클 2부

[안녕 긴 잠이여, 하라 료, 비채] - 기대해도 좋은 하드보일드 추리소설

[나는 어제 나를 죽였다, 박하와 우주, 예담] - 그들의 고통은 누가 함께 하는가

[스타터스, 리사 프라이스, 황금가지] - 암울한 미래를 그린 디스토피아 스릴러

[불의 꽃, 김별아, 해냄] - 사랑이라는 이름의 죄

[사악한 늑대, 넬레 노이하우스, 북로드] - 인간의 탈을 쓴 범죄집단을 파헤치다

[베타 : 만들어진 낙원, 레이철 콘, 까멜레옹] - 상상하고 싶지 않은 미래의 복제인간 이야기

[당신의 과거를 지워드립니다, 비프케 로렌츠, 레드박스] - 과거에 대한 모든 기억은 소중하다





■ 오픈캐스트 주소 : http://opencast.naver.com/TL880    테크리더의 북인사이트(Book Insight)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
반응형

본문 : 수 11:1~9

제목 : 이번 주부터 시작되는 새해 경주를 앞두고

날짜 : 2013년 12월 30일


열매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고민하지만 열매를 만드시는 이는 하나님이다.


요셉은 형통의 조상으로 일컬어진다. [창 49, 가지에 비유함]


다른 사람의 것을 빼앗는 것은 죄악이지만 다른 사람이 누리지 못한 것을 차지하는 것은 죄악이 아니다. 바로 요셉을 두고 하는 말이다.


지금은 미완성이지만 시간이 지나 갈고 닦이면서 공들이면 빛을 발하는 보석인 백마노가 므낫세 지파의 상징이다. 수고하고 기도했더니 열매를 얻게 되었다는 의미를 지닌 호박은 에브라임 지파의 상징이다. 호박 보석은 나무의 진액이 빠져나오는 기름이 쌓여셔 세월이 흘러 압축되어 만들어진다고 한다.


하나님의 각본대로 2014년의 인생을 요리하라. 하나님의 각본이 무엇인지 알아가는 생활이 중요하다. 하나님을 멀리하게 하는 전리품의 뒷발의 힘줄을 끊어라.(본문 6절)


특권을 누리려면 의무를 감당해야 한다. 정면돌파해야 할 때 뒷걸음질 치지 마라. 거침돌을 디딤돌로 만드는 새해가 되기를 바란다.


여호수아처럼 하나님과 동행하여 장애물을 허들경기로 만드는 2014년 새해가 되기를.

반응형
Posted by 테크리더
, |